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관세징수과 문자 수입세금 문자 디시

by ▒▒' 2024. 4. 30.

최근 관세징수과에서 온 문자 때문에 놀라신 분들이 많은데요, 관세청에서 보낸 건지 스미싱인지 구분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세징수과 문자 수입세금 문자 디시 등 관련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관세징수과 문자 수입세금 문자 디시

 

 

관세청 홈페이지에는 상담사례 조회에서 아래와 같은 내용 받은 문자에 대한 문의글이 있었습니다.

 

제목은 관세징수과에서 보낸 수입세금 미납 관련 문자였습니다.

 

'[국제발신] 고객님[관세징수과]입니다. 수입세금 924,699원 미납부 되었습니다. 빠른 납부처리 바랍니다. 고객센터 문의 1555-2750'

 

해당 문자는 2월 21일 수요일 오전 8시 59분에 온 문자로, 번호는 00131217906939였습니다.

 

국제발신번호라 매우 의심쩍은데요, 해당 글에 대해 관세청에서는 '스미싱 등 사기로 판단된다'는 입장의 글을 올렸습니다. 

 

그러면서 아래의 글을 남겼습니다.

 

'최근 세관 통관을 빙자해 관세나 통관수수료 또는 과태료 등의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는 신종 사기 수법에 의한 피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자에 남겨진 고객센터 번호 1555-2750 또한 '허위 세금 미납 사기 문자 스미싱' 번호로 확인되었습니다.

 

혹시 추가로 의심이 되는 번호가 있다면 thecall.co.kr에서 한번 조회해보세요.

 

스미싱 의심번호 조회하기 

 

참고로 피싱, 스미싱 등 사기 피해 신고는 아래 번호로 즉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피싱사기 피해신고 112 (경찰청)

- 피싱사기 관련 문의상담 1332 (금융감독원)

- 금융기관 등을 사칭한 스팸메시지 신고 118 (한국인터넷진흥원) 

 

관세징수과 수입세금 문자 디시

실제로 해외직구를 해서 관세를 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관세청 공식 블로그에 따르면 '관세청은 절대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 등으로 미납 관세의 납부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관세청 공식 카카오톡 채널은 관세청(친구 2.5만 명), 관세청 유니패스 기술지원상담센터(7.3만 명), 관세청 고객지원센터(1.5만 명) 세 가지 뿐이며 세관의 민원안내번호는 125입니다. 함께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관세 납부 관련 업무 절차에 대해 관세 납부팁 관련 디시인사이드 글을 참고해보세요.

 

관세징수과 문자 수입세금 문자 디시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실화탐사대 여수정형외과 여수 병원

최근 실화탐사대에서 여수정형외과가 방영되어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실화탐사대 여수정형외과 여수 병원 등 관련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집시 블랜차드 사건 집시 로즈 블랜차드

sugarbloom.tistory.com